정보 TIP2023. 1. 2. 21:03
반응형

2023년이 밝았습니다 새해가 왔는데도 그 전과 크게 바뀐점은 없는듯해요 같은 일상을 살고 지내는 하루 입니다 올해는 우리 고유의 대명절 설날이 1월에 있어요 보통은 2월쯤에 지냈던 기억이 나는데 이번엔 일찍 구정을 지내게 되는 셈 입니다 설하면 차례를 지내는 것과 맛있는 음식, 휴일 등 여러 문화가 떠오르지만 제일 큰 관심은 세뱃돈 풍습이 아닐까 싶어요

 

어릴땐 설날은 덕담을 듣고, 용돈 받는 날로 좋아했었지만 어느덧 이젠 조카나 자식들에게 세뱃돈을 줄 나이가 되었습니다 줘야할 사람이 많을수록 부담이 크죠... 근데 세뱃돈은 몇살까지 주고 받는건지 궁금해졌어요

과연 마지노선이 따로 정해져 있는가 싶구요 보통은 따로 정해져 있진 않고 주고 싶은 사람 마음이라며 말을 하고, 받는 입장도 계속 거절하는건 예의가 아니니 주면 받겠다는 의견이 큽니다

  • 어른들 입장 : 20세까지
  • 1020세대 입장 : 취업전까지
  • 결론 : 주고 싶으면 주는걸로...

 

세뱃돈 유래는 어디서 부터 시작이 되었을까?

우리나라는 옛부터 예를 중요시 했던 나라 입니다 설에는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세배를 하고 윗사람은 한해 이로운 덕담과 세뱃돈을 주는 풍습이 오랫동안 자리잡아왔는데 이는 중국에서 유래된 문화라는 설이 유력합니다 중국은 악귀와 불운을 떨치는 붉은 봉투에 넣어 돈을 주기 시작했고 우리나라는 조선시대부터 세배를 하는 아이들에게 떡과 과일을 주다가 시대가 바뀌며 돈으로 주는 문화가 되었습니다

 

 

어릴땐 돈에 대한 가치를 모르다가 점차 깨우치게 되는 초등학생들은 1년에 한번 큰 용돈을 만질수 있는 설날을 기대하며 손꼽아 기다리곤 합니다 초등학생에게 주는 적정 세뱃돈 기준은 나이, 학년별로 다르게 줘야하겠지만 대부분 말하길 초등학생은 1~3만원이 적당하다 말했습니다

  • 초등 : 1만원~3만원
  • 중 고등학생 : 5만원~그 이상

원래 새배는 가족들과 모여 따뜻한 정을 나누고 덕담과 함께 복을 나누는 것인데 언제부턴가 그런 목적이 사라지고 돈에 초점이 맞춰져서 아쉽긴 합니다 한번쯤은 설 명절 세배의 의미를 되새겨보는것도 좋을거 같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민트레몬